악보를쉽게보는 법
악보보는법의 가장 기초는 계이름입니다.
즉 도레미파솔라시도 입니다.
그것만 볼줄아시면 나머지는 그것에서
조금만 더 아시면 간단하게 보실수있습니다.
피아노같은경우는 건반의 자리가 정해져있기때문에
계이름에 #과 b을 계이름 자리에서 내리고 올리고하시면됩니다.
그리고 님이 말하시는 D단조,F단조 등은
그 음악의 장조를 말하는것입니다.
장조를 읽는것은 음이름을 일단아셔야합니다.
계이름인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순서에서
그대로 말하면 음이름은 CDEFGABC 순서입니다.
한국..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영국,미국 .. C D E F G A B C
이탈리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Do Re Mi Fa Sol La Si Do
이런식으로 계이름과 음이름이 있습니다. D라면 계이름 레를 말하는것이죠. 장조는 장음계, 단조는 단음계를 의미합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장조는 밝은분위기의음악이고 단조는 슬프고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입니다. 조표라는것은 그 음이름을 으뜸음으로 하는것을 말합니다.다장조는 도가 으뜸음이고 라장조는 레가 으뜸음입니다. 그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하지만 단조는 좀 다른게요 단조는 계이름 라가 처음입니다. 장조는 계이름 도가 처음시작이지만 단조는 라가 처음입니다. 그러니 D단조는 D음,그러니까 레보다 3음위가 원래의 그 조표를 입니다.그러니까 D음인 레의 3음위인 레미파,즉 파음이 으뜸음인 바장조의 나란한조입니다. 바장조는 시에b이 붙는 장조입니다.그러니 D단조의 곡을 악보상으로 보실때는 아마도 바장조인 F장조의 계이름으로 보셔야할겁니다.만약 더 궁금하시거나 제 설명이 부족하거나 이해가 어려우신게 있으시면 알려주세요.제가 아는부분까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합니다.
|
|
|
음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5선을 보표라 하며 5선으로 나타낼 수 없는 음은 위 아래로 덧줄을 사용한다. |
|
|
<보표> |
보표의 종류
|
|
작은 보표 : 독창곡이나 독주곡의 5선으로 한 개의 보표를 말한다. |
|
|
큰 보표 : 2개의 작은 보표를 한데 묶어놓은 것으로 피아노, 합창곡에 사용한다. |
|
|
모음 보표 : 관현악이나 실내악, 대 합창곡에 사용하며 보통 세 개 이상의 작은 보표로 묶는다. |
|
|
<작은보표> |
|
|
<큰보표> |
|
|
<모음보표> |
|
|
|
음자리표
|
|
높은음자리표 : '사(G)음자리표'라고도 하며 주로 '가온다'음보다 높은 음을 적을 때 사용한다. |
|
|
|
|
|
낮은음자리표 : '바(F)음자리표'라고도 하며 주로 '가온다'음보다 낮은 음을 적을 때 사용한다. |
|
|
|
|
|
가온음자리표 : '다(C)음자리표'라고도 하며 주로 '가온다'음을 중앙으로 하여 높고, 낮은 음을 적을 때 사용한다. |
|
|
|
|
|
가온음자리표의 종류 : 가온음자리표는 종류에 따라 <소프라노표>, <알토표>, <테너표>로 구분된다. |
음이름
|
|
음악에 사용하는 음을 높이에 따라 부여한 이름으로 조가 바뀌어도 그 명칭은 변하지 않는다. 음 이름은 '다, 라, 마, 바, 사, 가, 나'의 7음으로 되어있다. |
|
|
|
계이름
|
|
'도, 레, 미, 파, 솔, 라, 시'의 7음을 계이름이라 하며 음 이름과 달리 조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한다. |
|
|
|
음자리표
|
|
높은음자리표 : '사(G)음자리표'라고도 하며 주로 '가온다'음보다 높은 음을 적을 때 사용한다. |
|
|
|
|
|
낮은음자리표 : '바(F)음자리표'라고도 하며 주로 '가온다'음보다 낮은 음을 적을 때 사용한다. |
|
|
|
|
|
가온음자리표 : '다(C)음자리표'라고도 하며 주로 '가온다'음을 중앙으로 하여 높고, 낮은 음을 적을 때 사용한다. |
|
|
|
|
|
가온음자리표의 종류 : 가온음자리표는 종류에 따라 <소프라노표>, <알토표>, <테너표>로 구분된다. |
음이름
|
|
음악에 사용하는 음을 높이에 따라 부여한 이름으로 조가 바뀌어도 그 명칭은 변하지 않는다. 음 이름은 '다, 라, 마, 바, 사, 가, 나'의 7음으로 되어있다. |
|
|
|
계이름
|
|
'도, 레, 미, 파, 솔, 라, 시'의 7음을 계이름이라 하며 음 이름과 달리 조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한다. |
|
|
|
음표와 쉼표
|
|
음표 : 음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내는 표로 머리, 기둥, 꼬리, 점으로 되어있다. |
|
|
|
|
|
쉼표 : 음을 내지 않고 쉬는 때를 알리는 표를 쉼표라고 부른다. |
민음표와 민쉼표
|
|
|
점음표와 점쉼표
|
|
점음표 : 음표의 오른쪽에 점이 붙은 음표를 말하며, 이점은 앞 음표의 절반의 길이를 더하여 갖는다. | ||||||||||||||||||||
|
|
점쉼표 : 점음표와 같은 길이를 갖지만 잘 쓰이지 않는다. | ||||||||||||||||||||
|
|
| ||||||||||||||||||||
|
|
※온쉼표는 박자표에 상관없이 한 마디 전체를 쉴 때에도 사용된다. | ||||||||||||||||||||
|
|
겹점음표와 겹점쉼표 : 음표(쉼표)의 오른쪽에 작은 점이 2개 붙어 있는 음표(쉼표)로서 뒤의 점은 앞점의 1/2의 길이이다. |
음표와 쉼표의 적기
|
|
음표는 셋째 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위의 음은 기둥(대)을 아래로 적고, 둘째 칸 음이하는 위로 적는다. |
|
|
기둥의 길이는 한 옥타브의 길이가 좋다. |
잇단음표
|
|
셋 잇단음표 : 본디 2등분 해야 할 음표를 3등분한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
|
|
|
|
두 잇단음표 : 3등분 해야 할 음표를 2등분한 것으로 셋 잇단음표와 반대이다. |
|
|
|
박자와 리듬 
학습목표 |
1. 박자표와 박자젓기를 이해한다. |
|
2. 당김음의 구조와 강세를 이해한다. |
||
3. 마디의 구조를 이해한다. |
|
박자와 리듬
|
|
박자 :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셈여림 | ||||||||||||||||||||
|
|
박자표 : 악곡에서 음자리표와 조표 다음에 표시되는 분수 꼴 | ||||||||||||||||||||
|
|
박자의 갈래 | ||||||||||||||||||||
|
|
| ||||||||||||||||||||
| ||||||||||||||||||||||
|
|
혼합박자의 셈여림 |
박자젓기
|
|
|
리듬
|
|
당김음(Syncopation) : 쉼표나 기호, 붙임줄 등에 의해 셈여림의 위치가 바뀌는 리듬의 형태를 말한다. |
|
|
쉼표에 의한 당김음 |
|
|
엑센트에 의한 당김음 |
|
|
붙임줄에 의한 당김음 |
|
|
리듬에 의한 당김음 |
|
|
|
마디
|
|
마디 : 보표 위에 셈여림을 표시하기 위해 그어 놓은 세로줄과 세로줄 사이 |
|
|
세로줄 : 셈여림의 되풀이를 나타내기 위해 강박 앞에 그은 줄 |
|
|
겹세로줄 : 악곡 도중에 박자표나 조표가 바뀔 때와 전주 또는 간주가 끝나는 부분에서 사용 |
|
|
끝 세로줄 : 악곡이 완전히 끝날 때 사용 |
|
|
|
|
|
갖춘마디 : 박자표대로 박자의 수가 갖추어진 마디이며 센내기로 시작한다. |
|
|
못갖춘마디 : 박자표대로 작자의 수를 갖추지 못한 마디이며 여린내기로 시작한다. |
|
|
|
셈여림표
|
|
셈여림표 : 음의 셈여림 정도를 변화시키는 표를 말한다. | ||||||||||||||||||||||||||||
|
|
| ||||||||||||||||||||||||||||
|
|
셈여림을 변화시키는 표 | ||||||||||||||||||||||||||||
|
|
① 점점 세게 : crese.(크레센도) 또는 ② 점점 여리게 : decrese.(데크레센도) 또는 dim.(디미누엔도), ③ 그 음을 특히 세게 : sf, sfz, fz(스포르찬도) 또는 >.∨ .< (악센트) ④세게 곧 여리게 : fp(포르테 피아노) |

|
|
빠르기말 : 악곡의 빠르기 정도를 나타내는 말 |
|
|
|
|
|
빠르기표 : 악곡의 빠르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로 악곡 첫머리에 멜첼(J.N.Malzel)이 만든 메트로놈(Metronome)의 약자인 M.M.과 함께 ♩= 96으로 표시한다. |
|
|
악곡 일부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
|
|
rit.(리타르단도) : 점점 느리게 rall.(랄렌탄도) : 점점 느리게 accel.(아첼레란도) : 점점 빠르게 a tempo.(아 템포) : 본디 빠르기로 |

|
|
악곡의 표현을 나타내는 말로 악곡의 머리에 쓰인다. | ||||||||||||||||||||||||||||||||||||||||||
|
|
|

|
|
숨표( , ) : 가락의 도중에 잠깐 숨을 쉬라는 표 |
|
|
늘일표( |
|
|
테누토( -, ten, Tenuto ) : 음표의 길이를 충분히 연주 |
|
|
이음줄( slur ) : 높이다 다른 2개 이상의 음을 부드럽게 연주 연주 |
|
|
붙임줄( tie ) : 높이가 같은 2개의 음을 합하여 한 음같이 연주 |
|
|
스타카토( , staccato) : 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하라는 표 |
|
|
줄임표 : 같은 가락이 반복될 때 악곡을 줄여서 기보하는 표 도돌이표 : 악곡의 한 부분을 두 번 되풀이할 때 사용한다. D.C(다 카포) : 처음으로 돌아가서 겹세로줄 위의( )나 Fine에서 마치라는 표이다. |
|
|
D.S(달 세뇨) : ( )(세뇨)표로 돌아가서 겹세로줄 위의( )나 Fine에서 마치라는 표이다. |
음정
|
|
두 음 사이의 거리를 음정이라 하고 측정 단위는 도를 사용한다. |
|
|
|
|
|
음정의 종류 : 두 음이 따로 울릴 때의 음정을 가락 음정, 같이 울릴 때의 음정을 화성음정이라 한다. |
|
|
홑음정과 겹음정 : 두 음의 간격이 1옥타브 이내의 음정을 홑음정, 1옥타브 이상의 음정을 겹음정이라 한다. |
|
|
음정의 성질 <음정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 음정의 거리가 넓어지는 방향(+)> |
|
|
|
음계
|
|
장음계 : 3~4음과 7~8음 사이가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으로 된 음계 |
|
|
|
|
|
단음계 |
|
|
자연 단음계 : 2~3음과 5~6음 사이가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으로 구성 |
'[음악] >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주법-스윙,슬로우고고, (0) | 2011.01.20 |
---|---|
노래책 없이 통기타 치는법 (0) | 2011.01.20 |
백만송이 장미 -올가 프가체바 (0) | 2011.01.20 |
등불-사월과오월 (0) | 2011.01.20 |
코드이해 (0) | 201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