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기행

살아 있는 문학여행 /책의 배경지 여행

달빛그림자 2009. 12. 10. 23:28

살아 있는 문학여행 답사기

 

책 소개

『살아 있는 문학여행 답사기』는 그동안 교과서에서만 봐왔던 문학 작품들을 여행을 통해서 더욱 흥미롭게 만나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반가운 책이다. 문학 답사의 산 지식인인 안영선 선생이 15년간 채집하여 우리 문학의 멋과 향을 기록한 이 책에는 시조와 한시, 가사 문학으로 대표되는 고전 문학부터 현대시와 소설, 수필로 대표되는 현대 문학까지 총 망라되어 있다.

본문에는 작품과 작품 해설, 작가 소개를 수록하여 학습을 위한 목적으로도 부족함이 없으며,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곳을 직접 답사하여 설명과 함께 그 풍경과 감상을 독자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또한 문학 이외의 이야기나 문학 답사를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길 등을 자세히 기재해주어 진실로 작품을 만나려는 독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이 책을 손에 쥔 독자라면 누구든 책에서 이야기하는 그곳으로 한시바삐 달려가고픈 충동이 일게 될 것이다. 대학 입시를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읽어야했던 아름다운 우리 문학의 진정성을 찾는 여행, 지금 떠나보자! [모닝365 제공]

 

작가 소개
저자 | 안영선
문학 답사의 살아 있는 지식인인 선생님은 휘문고등학교를 거쳐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 17년간 중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현재 용인에 있는 성지중학교에 근무하며 〈용인문학회〉회원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15년 전 동료 교사들과 함께 우연한 기회에 문학 답사를 시작, 현재까지 전국 100곳 정도를 수차례 이상 답사하며 사라져 가는 문학 관련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강원도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을 중심으로 산재한 문학비와 생가, 작품의 배경이 된 곳의 귀중한 정보를 모아 많은 사람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답사를 통해 얻은 귀중한 사진 자료와 글을 모아 〈안영선의 국어여행, http://munhak.zerois.net〉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사이트는 2001년 정보통신 윤리위원회 청소년 권장사이트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모닝365 제공]
작가의 통합검색 결과보기
TOP
목차
상록수처럼 푸른 삶,
강직한 지사와 선비의 정신을 찾아서

심훈의 혼이 살아 있는 『상록수』의 고향 당진 _ 상록수처럼 늘 푸른 삶

대표 작품을 만나다 -『상록수』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상록수공원과 최용신 / 필경사와 심재영
문학 속 그곳 - 필경사 / 한진포구 / 상록탑 / 행담도 / 상록수문화관
축제 및 문학제 - 상록문화제

이병기의 난초 향기 그윽한 익산 _ 난을 사랑하며 난처럼 살다간 시인
대표 작품을 만나다 -『난초(蘭草)』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수우재 / 시조 부흥 운동 / 국어 사랑과 항일 정신 / 미륵사지의 따뜻한 석탑
문학 속 그곳 - 여산초등학교 / 이병기 동상 / 여산남초등학교 / 이병기 생가 / 이병기 묘소
축제 및 문학제 - 익산서동축제

이육사의 지조와 절개가 살아 있는 안동 _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에 찾아가는 고향
대표 작품을 만나다 -『절정』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안동댐으로 가는 길 / 이름에 얽힌 이야기 / 민족 저항 시인, 이육사
문학 속 그곳 - 태화동의 생가 / 육사 시비 / 이육사 생가 터 / 이육사 묘소 / 하회마을 / 도산서원 / 퇴계 종택 / 안동민속박물관 / 이육사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송강가사의 산실이 된 담양 _ 가사 문학 1번지를 찾아서
대표 작품을 만나다 -『사미인곡(思美人曲)』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대나무 숲과 정자 / 아름다운 지실마을 / 조선시대 최고의 원림, 소쇄원
문학 속 그곳 - 송강정(松江亭) / 식영정(息影亭) / 환벽당(環碧堂) / 한국가사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대나무축제

조지훈의 정신이 살아 있는 영양 _ 문향의 고을에서 만나는 선비의 삶
대표 작품을 만나다 -『승무(僧舞)』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전통 한옥마을, 주실리 / 지조와 삼불차(三不借) / 지훈과 목월의 화답시
문학 속 그곳 - 서석지 / 월록서당 / 조지훈 시비 / 호은종택 / 두들마을 / 지훈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지훈예술제

자연 속에서 부르는 목가,
평등을 꿈꾸는 이상향을 찾아서

신석정이 전원생활을 꿈꾸던 부안 _ 청구원에서 만나는 목가 시인

대표 작품을 만나다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시인이 생활했던 청구원 / 신석정의 절필 시대 / 부안의 아름다운 경치 그리고 아쉬움
문학 속 그곳 - 청구원((靑丘園) / 석정공원 / 매창공원 / 신석정 묘소 / 내소사 / 채석강과 적벽강
축제 및 문학제 - 매창문화제

윤선도와 함께 떠나는 남도의 끝 해남 _ 정치 풍운아에서 자연과 하나가 된 시인
대표 작품을 만나다 -『어부사시사』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윤선도의 고택, 녹우당 / 윤선도의 문학의 뿌리 / 윤선도 유적지와 아름다운 보길도
문학 속 그곳 - 금쇄동 / 동천석실 / 세연정(洗然亭) / 낙서재(樂書齋) / 녹우당(綠雨堂) / 땅끝마을과 땅끝탑 / 고산유물전시관
축제 및 문학제 - 고산문학축전

이효석의 메밀꽃 피는 평창 _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을 찾아서
대표 작품을 만나다 - 『메밀꽃 필 무렵』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봉평으로 가는 길 / 이효석의 봉평 / 이효석이 작품으로 담아낸 고향
문학 속 그곳 - 봉평의 5일장 / 소금처럼 하얀 메밀꽃 / 가산공원과 충주집 / 봉평개울의 징검다리 /
물레방앗간 / 이효석 생가 터 / 이효석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효석문화제

허균과 허난설헌의 유년이 살아 있는 강릉 _ 홍길동의 이상향을 찾아가는 길목에서
대표 작품을 만나다 -『홍길동전』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강문어화의 초당동 / 허난설헌의 시 세계 / 허균과 허난설헌의 묘소
문학 속 그곳 - 시비공원 / 홍길동 동상 / 초당동 생가 / 허균과 허난설헌 시비 / 교산 시비 / 애일당 터 / 강문항
축제 및 문학제 - 강릉단오제

홍명희의 사상이 『임꺽정』으로 피어난 괴산 _ 임꺽정으로 태어난 벽초의 사상과 문학
대표 작품을 만나다 -『임꺽정』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민중의 영웅 , 의적 / 칠장사와 임꺽정 / 홍명희의 괴산 독립 만세 운동 / 홍명희의 가족들
문학 속 그곳 - 칠장사 / 녹박재 / 동부리 생가 / 제월대와 괴강 / 제월리 유택 / 홍명희문학비 / 화양동계곡
축제 및 문학제 - 홍명희문학제

민중을 위한 삶,
웃음 뒤에 감춰진 풍자의 미학을 찾아서

김삿갓의 시작과 끝 영월 _ 삿갓 속에서 피어나는 풍자와 해학

대표 작품을 만나다 -『안락성을 지나며(過安樂見)』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영월로 은둔한 김삿갓 / 죽장에 삿갓을 쓰다 / 김삿갓 유적지로 가는 길
문학 속 그곳 - 관풍헌(觀風軒) / 김삿갓 ?역 / 김삿갓 주거지 / 청령포 / 장릉 / 난고 김삿갓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난고 김삿갓 문화큰잔치

김유정과 함께하는 호반의 도시 춘천 _ 웃음과 해학이 묻어나는 실레마을
대표 작품을 만나다 - 『동백꽃』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실레마을 / 김유정문학촌 / 김유정이 사랑한 여인들
문학 속 그곳 - 금병산 / 금병의숙 / 김봉필의 집터 / 의암호 / 공지천 조각공원 / 김유정 생가 / 김유정 동상 / 김유정기념전시관
축제 및 문학제 - 김유정문학제

신동엽의 시 정신으로 피어난 백제의 혼 부여 _ 백제의 고도에서 외치는 민주의 함성
대표 작품을 만나다 -『껍데기는 가라』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백제의 고도, 부여 / 민중 속의 시인 / 능산리로 가는 길
문학 속 그곳 - 금강(백마강) / 부여초등학교 / 신동엽 시비 / 신동엽 생가 / 신동엽의 묘소 / 구드래조각공원 / 궁남지
축제 및 문학제 - 백제문화제

채만식의 숨결이 살아 있는 군산 _ 웃음 뒤에 감춰진 풍자의 미학
대표 작품을 만나다 -『탁류』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어렵게 찾은 채만식의 흔적 / 채만식의 교우 관계와 성격 / 채만식의 묘소
문학 속 그곳 - 월명공원 / 미두장(米豆場) / 째보선창 / 조선은행 / 콩나물고개 / 채만식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군산 오성문화제

한용운의 애국 혼이 타오른 홍성 _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도는 노래
대표 작품을 만나다 -『나룻배와 행인』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생가지를 찾아서 / 시집 《님의 침묵》과 ‘임’의 의미 / 민족혼의 성지를 꿈꾸며
문학 속 그곳 - 한용운 생가 / 만해사 / 한용운 대선사상 / 시비 『나룻배와 행인』 / 남산공원 / 김좌진 생가
축제 및 문학제 - 만해제

모란이 피는 오월,
옛이야기 지줄 대는 순수와 서정을 찾아서

김영랑의 모란이 피어나는 강진 _ 모란이 피기를 기다리는 영랑의 오월

대표 작품을 만나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김영랑의 생가 / 시가 피어오르는 장소 / 북도에는 소월, 남도에는 영랑 / 강진의 자랑, 영랑
문학 속 그곳 - 영랑공원 / 강진군립도서관 / 영랑의 생가 / 다산초당 / 강진 월출산 다원 / 무위사 / 강진향토문화관
축제 및 문학제 - 영랑문학제

박용철의 순수 문학의 산실 광주 _ 시문학으로 꽃피운 순수 서정의 세계
대표 작품을 만나다 -『떠나가는 배』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어등산 자락의 생가 / 용아와 영랑 / 용아 박용철을 기억하는 작은 움직임
문학 속 그곳 - 송정공원 / 황룡강 / 광주공원 / 사직공원 / 소촌동 생가 / 무등산
축제 및 문학제 - 임방울국악제

서정주의 질마재 신화를 간직한 고창 _ 선운사 동백꽃을 그리워하는 시인의 방황
대표 작품을 만나다 -『추천사』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미당시문학관과 서정주의 생가 / 서정주의 갈등과 방황 / 오점으로 남은 친일 문학 / 국화꽃으로 뒤덮인 질마재
문학 속 그곳 - 질마재 / 선운사의 동백꽃 / 서정주 시인의 묘소 / 고창읍성 / 판소리박물관 / 미당시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미당문학제

이무영 농민 소설의 뿌리가 된 음성 _ 흙으로 표현된 인생의 의미
대표 작품을 만나다 -『제1과 제1장』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음성과 이무영
문학 속 그곳 - 오리골 / 이무영 생가 터 / 무영정 / 무영로 / 설성공원 문학비 /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축제 및 문학제 - 무영제

정지용의 향수로 다시 피어난 옥천 _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는 시인의 고향
대표 작품을 만나다 -『향수』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정지용의 생가 / 이산가족이 되어 버린 정지용 부자 / 옥천의 자랑, 정지용
문학 속 그곳 - 실개천 / 죽향초등학교 / 시가 있는 거리 / 체육공원 내 관성회관 / 옥천역 / 옥천향교 / 정지용문학관
축제 및 문학제 - 정지용문학축제

Special Page

박경리의 삶과 문학 혼이 깃든 원주 _ 민족의 대서사시 『토지』의 산실을 찾아서

대표 작품을 만나다 -『토지』
나의 문학 여행 답사기 - 토지문학공원으로 가는 길 / 단구동 옛집에 묻어나는 흔적들 / 문학의 성지를 꿈꾸는 통영
문학 속 그곳 - 토지문학공원 / 단구동 옛집 / 평사리 마당 / 홍이동산 / 용두레벌 / 박경리문학전시실 / 토지문화관
축제 및 문학제 - 한지문화제

[예스24 제공]